반응형

 

조기영어교육 찬성과 반대 토론~

 

우리나라에서 초등학교에 진학하기도 전의 아동에게 조기영어교육을 시키는 사람들이 해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면 이러한 조기영어교육은 과연 꼭 필요한 것인지, 아닌지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조기영어교육이란?

 

이완기(1996)'조기영어교육이'7세 이전에 이루어지는 영어교육을 의미하고, '초등학교 영어교육'이 초등학생의 영어교육을 의미한다고 하여 둘 사이를 뚜렷하게 구별하였다.

 

 

 2. 조기영어교육 찬성입장

 

어린이들은 선천적인 언어 습득 장치의 활동이 가장 왕성하고 13~14세쯤 부터는 쇠퇴한다.

어린 시기에 인지 발달을 위해서나 언어 발달을 위해서 어린이의 특성을 잘 활용하여 조기 영어 교육을 시키는 것이 좋다.

언어습득의 결정적 시기를 놓치면 언어습득이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시간이 많이 걸리고 비능률적이다.

어린이는 대뇌의 언어 통제 기관이 유연하여 언어습득능력이 어른보다 크다.

어린이는 선천적인 언어습득장치에 의하여 모국어가 습득되는 것과 같이 무의식적으로 외국어를 습득할 수 있다.

어린이는 모방과 행위를 즐겨하며, 언어학습에 있어서 필요한 반복행위를 좋아한다.

어린이는 본능적인 작용이 있어 언어 습득에 대한 두려움, 의문, 선입견이 없고 개념을 왜곡하거나 두둔하지 않는다.

 

 

 3. 조기영어교육 반대입장

 

조기영어교육을 실시할 경우 아이의 모국어 능력이 어떻게 될까 하는 문제이다. 우리말 실력은 뒤떨어지고 영어 실력만 월등하게 될 수 있다.

조기영어교육을 한다고 해서 나중에 그 아이의 영어능력이 어떻게 될 지 예측할 수 없다.

성인은 이론적 사고가 발달해 있기 때문에 적은 시간 안에 많은 양의 지식을 빨리 습득한다.

성인은 높은 지능에 기억력과 분명한 동기를 가질 수 있고 모국어의 기능이 잘 확립되어 외국어와의 혼란을 가져오지 않아서 어린이보다 유리하다.

성인이 언어의 추상성을 이해하는데 있어 우월하다.

 

 

반응형